Jump to content

User:HyeonsungDo/sandbox: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ontent deleted Content added
Created page with 'From 위키백과 '''세는나이'''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이전부터 널리 썼던 나이 세는 방법으로 '''햇수 나이'''라고도 한다. 이 나이 계산법은 사람이 태어남과 동시에 한 살로 치고 그 후 새해의 1월 1일마다 한 살을 더하는데, 이는 원년(元年)을 '0년'이 아닌 '1년'으로 보는 역법(曆法)의 햇수 세는 방식에 기초한 것이다...'
 
remove page from Special:WantedTemplates
 
(6 intermediate revisions by 2 users not shown)
Line 1: Line 1: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한국의''' 무속신앙에 뿌리를 둔 미신은 한국 생활의 많은 부분에 존재한다.
From 위키백과


한국의 무속신앙에서는 민간신앙이 세대를 거쳐 전승되어 왔고<ref>{{cite web|url=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9436700|성=Naver|이름=Encyclopedia|제목=Definition of Saju|확인날짜=2016-05-21}}</ref> 조선시대 에는 유교 와 무속이 번성해<ref>{{cite news|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2299&idxno=538711|뉴스=2016-06-01|성=Online-News Team|제목=무녀…조선 왕들은 믿었을까|확인날짜=2012-02-01}}</ref> 신의 모습은 없지만 한국 무속신앙의 신앙체계 안에는 초자연적인 현상들이 존재한다.<ref>{{cite news|url=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19688.html|뉴스=2016-06-21|성=김|이름=우재|제목=[야! 한국사회] 샤머니즘 국가 / 김우재|확인날짜=2015-11-30}}</ref>
'''세는나이'''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이전부터 널리 썼던 나이 세는 방법으로 '''햇수 나이'''라고도 한다. 이 나이 계산법은 사람이 태어남과 동시에 한 살로 치고 그 후 새해의 1월 1일마다 한 살을 더하는데, 이는 원년(元年)을 '0년'이 아닌 '1년'으로 보는 역법(曆法)의 햇수 세는 방식에 기초한 것이다.


== 특징 ==
동아시아에서 '새해의 1월 1일'은 과거 음력 1월 1일(설날)을 가리켰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양력에 따른 출생신고가 정착한 이후 양력 1월 1일 새해 첫날이 새해의 기준이 되었다. 일상생활에서 나이를 셀 때에는 만 나이가 아닌 '''햇수 나이'''로 세면서 음력, 양력 여부를 가리지 않고 주민등록상의 출생년도가 같으면 동갑내기로 보는 풍조가 생겼다.
일부 한국의 미신은 중국이나 일본의 미신과 비슷한 부분이 존재한다. 많은 한국의 미신들은 불확실한 상황을 두려워하거나 특정 행동을 피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ref>{{cite news|url=articleView.html?idxno|뉴스=2016-06-23|성=심|이름=은혜|제목=일제 오리엔탈리즘에 의해 한국 복식문화는 비하되었다" 기사승인|확인날짜=2015-10-19}}</ref>


== 한국 미신의 예 ==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 이 나이 계산법을 공식적·법적으로 쓰는 국가는 없다. 그러나 전 세계에서 사실상 대한민국과 중국에서는 여전히 관습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1910년대 이전 옛 문헌의 연령은 전부 이 방법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1950년 이후부터 만 나이만 쓰고 있다.


====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신들 ====
전통적인 동아시아의 나이 계산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행해지는 인간의 나이를 계산하는 일련의 관련된 방법들을 포함하며, 이는 출생 시부터 포괄적으로 세고, 생일이 아닌 새해가 될 때마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계산된 나이들은 항상 생일만으로 계산된 나이들보다 1년 혹은 2년 더 크다.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의 역사 기록들은 대개 이러한 방법들에 기초해 왔으며,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랐다. 한국은 2023년 6월 28일에 이전 시스템의 사용을 공식적으로 중단하였다. 비공식적인 사용은 여전히 중화인민공화국과 남한, 북한, 싱가포르, 해외 화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1.빨간색으로 이름을 쓰면 죽는다 ======
이러한 방법들 중 첫 번째인 중국의 나이 계산법은 고대 중국 점성술에서 사람의 운명이 자신이 태어날 때 목성과 반대에 있는 별들에 묶여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12년 주기의 중요성은 풍수지리학에서도 중요하지만, 별과 같이 중국의 십이지신이 새해마다 변하기 때문에 대중문화에서도 살아남는다.
한국에선 빨간색으로 이름을 쓰는 것은 실패와 죽음, 즉 나쁜 징조를 가져온다고 생각된다. 이 무속신앙은 중국에서 빨간색 글씨가 집행령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 시작되었다. 이 무속신앙은 중국의 속국이었을때 한국으로 펴져나갔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92246625668880&mediaCodeNo=257]


====== 2. 돼지 꿈을 꾸면 돈이 들어온다 ======
이 체계에서 사람의 나이는 태어난 후 년(年)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영향을 받아 살아 남은 목성의 별들(간체 중국어: 岁, 번체 중국어: 歲, 핀음: 수 ì)의 숫자를 세는 것이다. 송나라에 의해 이 체계는, 그리고 60년 주기와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환갑의 더 큰 중요성은, 중국 대륙 전체에 퍼져나갔다.
누군가가 돼지 꿈을 꾸면 좋은 징조가 나타난다는 미신이 있다. 한국에서의 돼지는 다산의 상징이며 중국에서는 돼지의 중국어 발음이 ‘옥’을 뜻하는 발음과 비슷해서 돼지는 부의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선 1970년대까지, 돼지들은 매우 비쌌기 때문에 학생들은 돼지 한 마리를 팔아서 대학 입학금을 낼 수 있어 돼지는 부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일본은 메이지 개혁의 일부로 이 체계를 없앴다.


====== 3. 숫자 ‘4’는 죽음을 의미한다. ======
중화민국은 중국 국공 내전 이후 공산당에 의해 계속된 자체 개혁 동안 이 체계를 부분적으로 현대화했다.
숫자 4는 불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숫자 4대신 문자 ‘F’를 사용해 4층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는 숫자 4의 발음이 한자로 죽음을 의미하는 죽을 사(死)라는 단어와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도 숫자 4는 불행이나 죽음과도 연관되어 있다.
현대의 대만은 때때로 정부에 의해 수용되는 전통적인 나이의 매우 광범위한 사용과 함께, 현재 혼합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 모든 공식적인 목적을 위해 생일만으로 나이를 계산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 만다린은 나이를 말할 때 수 있는 su ì라는 단어를 계속 단독으로 사용하고 있고, 일본어도 유사하게 그것의 대응어인 사이를 사용한다.


====== 4. 까치는 행운을 가져온다. ======
한국의 세는 나이는 중국식 제도를 이용하여 시작되었으나 1896년부터 양력을 채택해 1월 1일을 새해를 기준으로 해 연령을 산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북한에서는 1980년대에 구제도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한국에서는 국제적인 "실제 연령"이 운전 자격이나 술, 담배에 접근할 수 있는 자격 등 많은 맥락에서 점차 "한국의 연령"을 대체하고 있다. 세 번째 중간 제도도 일부 남한 법률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연 나이”는 출생 연도와 현재 연도의 차이로, 1월 1일을 이용하여 연령을 산정하는 것과 같으나 1살이 아닌 0살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혼합 제도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효과적으로 계획하는 데 어려움을 낳았고, 정부는 2023년 6월부터 생일을 기준으로 해 연령 산정을 전면 바꾸겠다고 발표하였다.
한국에서 까치는 똑똑하고 기민하며, 새로운 환경에서도 적응력이 높다는 점에서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또한 까치는 중세 유럽에서 마녀와 연결되는 이야기에서 나오는 새 중 하나이다. 마녀들은 까치를 자신의 "잠자리"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까치는 마녀와 그들이 가진 마법력과 연결되는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이는 까치가 행운과 마법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이다.


====== 5. 설날에 듣는 까치 소리는 길조, 까마귀 소리는 흉조다 ======
== 대한민국[edit] ==
설날 새벽에 밖에 나가서 까치 소리를 듣는 것은 행운을 불러 들어오는 것이고, 까마귀 소리를 듣는 것은 불길한 징조를 뜻한다.
세는나이의 사회적 부작용에 관해서는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 취학 연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6. 선풍기를 켜고 자면 죽는다. ======
대한민국에서는 나이를 세는 단위로 대부분 '<nowiki/>'''살'<nowiki/>'''을 쓴다. 대한민국에서 나이는 높임말 사용에 큰 영향을 끼치는 기준이므로 서로의 나이나 태어난 해를 묻고 답하는 일이 많은데, 이때의 나이가 세는나이이다. 일상에서는 세는나이를 두루 쓰며, 만 나이를 쓸 때는 보통 '<nowiki/>'''만 나이''''임을 강조하여 말한다.
몇몇 한국인들은 선풍기를 켠 채로 자면 죽는다는 잘못된 정보를 믿는데, 그 이유는 선풍기를 켜고 자면 수면 중에 산소 부족과 저체온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근데 이는 과학적으로 근거없는 사실이다.<ref>{{cite web|url=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071501277|성=chosun|언어=ko|이름=health|제목=[팩트체크] 밀폐된 공간서 선풍기 틀고 자면 죽는다… 정말?|확인날짜=2023-10-29}}</ref>


====== 7. 신발을 선물하면 도망간다. ======
그러나 법에서는 만 나이가 기준이며, '세(歲)'로 표시한다. 만 나이는 첫날을 셈에 넣어 생일을 기준으로 셈한다. 다만 병역법은 병역 자원을 통일하게 관리하기 위해 생일이 아닌 해를 기준으로 나이를 셈하며, 청소년보호법은 규제의 효율성과 집행의 편의성 때문에 해를 기준으로 청소년 여부를 가름한다. 청소년보호법에 따르면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청소년으로 간주하지 않으므로, 만 19세가 되기 전이라도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이 되면 청소년보호법상 청소년이 아니다.
한국인들은 선물로 신발을 받으면 소중한 사람이 자신을 떠날 것이란 신호라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신발이 귀해서 가족간에 돌려 신거나 물려 받아 신었다. 그러다가 신발을 선물 받으면 좋아서 이곳 저곳 돌아다니다가 떠나가버린다는 이야기가 와전되어 생긴 미신이다.


====== 8. 다리를 떨면 복(福)이 달아난다. ======
한국에서는 아기가 태어난 지 100일이 되는 날을 백일이라 하며, 문자 그대로 '백일'이라는 뜻으로 특별한 축하를 받으며, 한때 유아 사망률이 높았던 시기의 생존을 기념한다.
사람들이 다리를 흔들면 그들이 가진 복(福)이 나간다고 생각한다. 즉 그들은 미래에 기회를 잃는다고 생각한다.


====== 9. 문지방을 밟으면 안 된다. ======
'돌'은 탄생 1주년을 기념하는 말로 훨씬 더 큰 의미를 부여 받는다. 모든 한국인이 새해에 매 년 한 살씩 먹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그들의 생일을 기념한다. 태어나면 한 살이지만, 두 번째 해는 새해 첫 날이기 때문에 12월 31일에 태어난 아이들은 설날 바로 다음 날엔 두 살이 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문지방을 밟으면 불행을 가져온다는 생각하는데 이러한 미신은 몽골 침략 당시에 시작됐다. 한국 문화에서는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죽은 후에 몸을 집에 며칠 간 머무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문지방은 이승과 저승의 경계로 여겨지며 관을 집에 넣어두는 것은 세상에 대한 미련을 떨쳐버리기 위한 수단이었다. 따라서 살아있는 사람이 문지방을 발로 밟는 것은 불운의 징조로 여겨진다.


====== 10. 밤에 손,발톱을 깎으면 안된다. ======
따라서 동일한 해에 태어난 모든 사람은 유효하게 같은 나이를 가지며 공식으로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연령 =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1
밤에 손톱과 발톱을 깎으면 불행이 찾아온다고 생각한다. 또한 떨어져나간 손발톱을 쥐가 주워먹고 사람이 된다는 미신도 존재한다.<ref>{{cite web|url=http://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5489|언어=ko|제목=손톱 먹은 들쥐|확인날짜=2023-10-29}}</ref>


====== 11. 시험 관련 미신 ======
법제처에 따르면 2023년 6월 28일부터 '''세는 나이'''가 사라지고, '''만 나이'''로 통일되었다. 이 변화는 법적 분쟁과 불만과 사회적 혼란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전환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해와 술이나 담배를 구입하거나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할 수 있는 나이 등 이전의 제도에서 여전히 몇 가지 측면에서 유지될 것이다.
시험 당일에 미역국을 먹으면 시험에 떨어진다는 미신이 있다. 그 이유는 미역은 미끄럽기 때문에 시험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찹쌀떡이나 엿을 먹으면 시험에 통과한다는 미신도 있다. 그 이유는 떡과 엿은 끈적하고 미끄럽지 않고 착 달라붙기 때문에 시험에 합격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12. 자라따기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edit] ==
영양실조를 치료하기 위한 미신에 근거한 대체의 한 형태로 손에 의도적으로 상처를 입혀서 부정적인 에너지를 몸 밖으로 빼내는 수술(자라따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법적으로 만 나이를 쓴다.


과거에는 어린이들이 영양실조로 많이 고통을 받았고 이 고통이 음식을 못 먹어서 발생한다기 보다는 몸에 부정적인 에너지가 존재해서 걸리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 결과로 이 수술 (자라따기)는 인기를 끌었고 손가락을 따는 것만으로도 영양실조를 치료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과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이 수술(자라따기)은 영양실조를 치료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보기 어렵다.
== 중국[edit] ==
새해가 밝았을 때 나이를 먹는 전통 방식과 서구에서 쓰는 현대 방식에서 모두 '세(歲)', 다시 말해 '쑤이'(<small>중국어 간체자:</small> 岁, <small>정체자:</small> 歲, <small>병음:</small> suì)를 쓴다. 세는나이는 '쉬쑤이'(<small>중국어 간체자:</small> 虚岁, <small>정체자:</small> 虛歲, <small>병음:</small> xūsuì)라고 하고, 만 나이는 '저우쑤이'(<small>중국어 간체자:</small> 周岁, <small>정체자:</small> 週歲, <small>병음:</small> zhōusùi) 또는 '스쑤이'(<small>중국어 간체자:</small> 实岁, <small>정체자:</small> 實歲, <small>병음:</small> shísùi)라고 부른다. 세는나이인 허세(虛歲)는 문화대혁명 이후에 거의 쓰지 않고 있다.


====== 13. 무당 굿 ======
현재 중국에서는 물론 전 세계 중국 사회에서 ’쑤이’라는 용어 자체가 모호할 수 있다. 법적 문서상의 연령 등 대부분의 맥락에서 영어 "year old(나이)”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법적 음주 연령이 ’18 쑤이’인 중국에서는 18세 생일 이후까지 술을 마시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다만 점을 보기 위해 연령을 정하는 것이나 전근대 문헌을 읽는 것과 같은 일부 맥락에서는 전통적인 연령 산정 방식과 서구에서 채택한 현대적 방식에선 통한다.
굿을 하는 것은 조상의 제사에서 무당이 미래를 위해 기도하거나 노래하거나 춤을 추면 무당의 축복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 14. 풍수지리 ======
== 일본[edit] ==
지형에 기초한 점술론으로 풍수는 집터나 무덤터를 정할 때 사용죄며 대부분 미신으로 간주한다. 풍수는 중국에서 유래한 풍수지리라는 관념에서 유래했다. 풍수지리는 경험으로 증명된 전통적인 지식으로 제시하고, 현장의 기운을 평가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풍수가 무조건 맞다고 주장할 과학적 증거는 없다. 풍수지리는 현대 지식보다 우월하지 않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현대 과학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믿는 문제에 대해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점을 지적한다.
일본에서도 나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이(일본어: 歲)', 다시 말해 '세'(歲)를 쓰고 있으며, 세는나이와 만 나이 모두 이 낱말을 쓴다. 세는나이는 '가조에도시'(일본어: 数え年)라고 부르는데, 1902년에 서구 법률제도의 예를 따라 이를 없애고 만 나이를 뜻하는 '만넨레이'(일본어: 満年齢)를 쓰게 되었다. 1950년 1월 1일에는 그때까지 관습이 남아 있던 세는나이 대신 만 나이를 쓸 것을 권장하는 '나이 세는 법에 관한 법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그 귀결 현재 일상에서 만 나이를 주로 쓰고 세는나이는 고문헌을 정리할 때 외에는 거의 쓰지 않고 있다.


====== 15. 밤에 휘파람/피리를 불면 뱀이 나온다. ======
== 베트남[edit] ==
인도나 이집트 같은 곳에 가면 피리나 휘파람으로 뱀을 움직여 공연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이 영향을 받아 영화나 소설 등 각종 매체에서 휘파람으로 뱀을 부른다는 내용이 많아서 생긴 미신이다. 실제로는 피리에서 나오는 공기를 공격으로 인식해 이리저리 경계태세를 취하는 것뿐으로, 정작 뱀은 청력이 매우 약해서 피리 소리나 휘파람 소리는커녕 다른 대포 소리 같은 매우 크고 시끄러운 소리들도 전혀 듣지 못하며, 또한 야행성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밤에는 대체적으로 취침을 한다. 참고로 뱀은 소리를 듣지 못하고 느끼기만 한다.
베트남은 프랑스에 식민지배를 당하던 때에 베트남어의 표기법을 비롯하여 제반 제도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고, 나이 계산법도 '만 나이'를 쓴다.


====== 16.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소가 된다. ======
== 각주[edit] ==
밥을 먹고 나면 소화가 시작되며, 이 때문에 피가 위로 몰려 졸음이 오기 쉽다. 이런 상태에서 바로 눕게 되면 쉽게 잠이 들기 마련인데, 이걸 게으른 것으로 인식하면서 생겨난 미신. 하지만 실제 의학적으로도 밥을 먹고 바로 누우면 역류성 식도염이 생길 확률이 높을 뿐더러 혈당 조절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드러났기에 밥 먹고 바로 눕는 걸 권하지 않는다.


== 관련된 한국 영화 ==
# ↑ 서기 1년의 직전년도는 0년이 아니라 기원전 1년이다.
# ↑ 이를테면 나라를 세우거나 즉위하여 연호를 '대한'으로 정한 경우 나라를 세운 날짜 또는 즉위한 날짜가 1월이든 6월이든 12월이든 관계없이 그 해는 '대한 원년(1년)'이 되고 그 다음해 1월 1일이 되면 '대한 2년'이 된다. 이런 식으로 개인에 있어서도 태어난 해에 '한 살', 이듬해 1월 1일 '두 살'이 되는 것이다.


# 여고괴담
== 같이 보기[edit] ==
# 곡성<ref>{{cite web|url=http://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994|성=[출처:시선뉴스, 심재민 기자]|제목=영화 ‘곡성’ 속 토속신앙! 무명과 일광은 어떤 신앙인가? [지식용어]}}</ref>
# 관상<ref>{{cite web|url=https://www.etoday.co.kr/news/view/788990|성=[출처: 이투데이, 최두선 기자]|제목=‘관상’, 얼굴로 그리는 대서사시 [리뷰]}}</ref>
# 손님<ref>{{cite web|url=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85196|성=[출처: 경남도민일보, 최규정 기자]|제목=[영화 리뷰]'손님'…판타지 호러에 숨겨진 시대의 풍자}}</ref>
# 검은사제들<ref>{{cite web|url=https://www.xportsnews.com/article/662944|성=[출처: 엑스포츠뉴스, 김유진 기자]|제목=장재현 감독, 디테일로 완성한 '검은 사제들' (인터뷰)}}</ref>


== 논란 ==
*
현대 사회에서 합리성에 대한 강조가 많아지면서 미신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었다.<ref>{{cite web|url=http://www.nadodo.unsetotal.com/user/mu_05/unse/07.htm|성=[사주 관련 홈페이지]|제목=한국에서 사주의 영향}}</ref>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미신적인 믿음에 대한 행동을 비판하곤한다.<ref>{{cite web|url=https://www.sedaily.com/NewsView/1KV85G4EYK|성=[출처: 서울경제, 김민정 기자]|제목=어설픈 민간요법에 머리카락 우수수...무모(無毛)한 도전 말고 병원부터 가세요}}</ref> 그러나 맹목적으로 미신에 눈을 돌리면 오히려 마음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ref>{{cite web|url=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73641|성=[출처: 경북매일, 김혜영 기자]|제목=“미래 막막해”… 占 권하는 사회}}</ref>

또한 우리나라의 유명한 전통놀이인 제사(제사)나 쥐불놀이를 단순한 미신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국가 문화의 중요한 측면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ref>{{cite web|url=https://www.yna.co.kr/view/AKR20160221060600052|성=[출처: 연합뉴스, 오태인 기자]|제목=<카메라 뉴스> 철새 무사귀향 비는 쥐불놀이}}</ref>

== 참조 ==
<references />
<references />

Latest revision as of 21:33, 19 December 2023

User:HyeonsungDo/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한국의 무속신앙에 뿌리를 둔 미신은 한국 생활의 많은 부분에 존재한다.

한국의 무속신앙에서는 민간신앙이 세대를 거쳐 전승되어 왔고[1] 조선시대 에는 유교 와 무속이 번성해[2] 신의 모습은 없지만 한국 무속신앙의 신앙체계 안에는 초자연적인 현상들이 존재한다.[3]

특징

[edit]

일부 한국의 미신은 중국이나 일본의 미신과 비슷한 부분이 존재한다. 많은 한국의 미신들은 불확실한 상황을 두려워하거나 특정 행동을 피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4]

한국 미신의 예

[edit]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신들

[edit]
1.빨간색으로 이름을 쓰면 죽는다
[edit]

한국에선 빨간색으로 이름을 쓰는 것은 실패와 죽음, 즉 나쁜 징조를 가져온다고 생각된다. 이 무속신앙은 중국에서 빨간색 글씨가 집행령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 시작되었다. 이 무속신앙은 중국의 속국이었을때 한국으로 펴져나갔다.[1]

2. 돼지 꿈을 꾸면 돈이 들어온다
[edit]

누군가가 돼지 꿈을 꾸면 좋은 징조가 나타난다는 미신이 있다. 한국에서의 돼지는 다산의 상징이며 중국에서는 돼지의 중국어 발음이 ‘옥’을 뜻하는 발음과 비슷해서 돼지는 부의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선 1970년대까지, 돼지들은 매우 비쌌기 때문에 학생들은 돼지 한 마리를 팔아서 대학 입학금을 낼 수 있어 돼지는 부의 상징이었다.

3. 숫자 ‘4’는 죽음을 의미한다.
[edit]

숫자 4는 불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숫자 4대신 문자 ‘F’를 사용해 4층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는 숫자 4의 발음이 한자로 죽음을 의미하는 죽을 사(死)라는 단어와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도 숫자 4는 불행이나 죽음과도 연관되어 있다.

4. 까치는 행운을 가져온다.
[edit]

한국에서 까치는 똑똑하고 기민하며, 새로운 환경에서도 적응력이 높다는 점에서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또한 까치는 중세 유럽에서 마녀와 연결되는 이야기에서 나오는 새 중 하나이다. 마녀들은 까치를 자신의 "잠자리"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까치는 마녀와 그들이 가진 마법력과 연결되는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이는 까치가 행운과 마법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이다.

5. 설날에 듣는 까치 소리는 길조, 까마귀 소리는 흉조다
[edit]

설날 새벽에 밖에 나가서 까치 소리를 듣는 것은 행운을 불러 들어오는 것이고, 까마귀 소리를 듣는 것은 불길한 징조를 뜻한다.

6. 선풍기를 켜고 자면 죽는다.
[edit]

몇몇 한국인들은 선풍기를 켠 채로 자면 죽는다는 잘못된 정보를 믿는데, 그 이유는 선풍기를 켜고 자면 수면 중에 산소 부족과 저체온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근데 이는 과학적으로 근거없는 사실이다.[5]

7. 신발을 선물하면 도망간다.
[edit]

한국인들은 선물로 신발을 받으면 소중한 사람이 자신을 떠날 것이란 신호라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신발이 귀해서 가족간에 돌려 신거나 물려 받아 신었다. 그러다가 신발을 선물 받으면 좋아서 이곳 저곳 돌아다니다가 떠나가버린다는 이야기가 와전되어 생긴 미신이다.

8. 다리를 떨면 복(福)이 달아난다.
[edit]

사람들이 다리를 흔들면 그들이 가진 복(福)이 나간다고 생각한다. 즉 그들은 미래에 기회를 잃는다고 생각한다.

9. 문지방을 밟으면 안 된다.
[edit]

문지방을 밟으면 불행을 가져온다는 생각하는데 이러한 미신은 몽골 침략 당시에 시작됐다. 한국 문화에서는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죽은 후에 몸을 집에 며칠 간 머무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문지방은 이승과 저승의 경계로 여겨지며 관을 집에 넣어두는 것은 세상에 대한 미련을 떨쳐버리기 위한 수단이었다. 따라서 살아있는 사람이 문지방을 발로 밟는 것은 불운의 징조로 여겨진다.

10. 밤에 손,발톱을 깎으면 안된다.
[edit]

밤에 손톱과 발톱을 깎으면 불행이 찾아온다고 생각한다. 또한 떨어져나간 손발톱을 쥐가 주워먹고 사람이 된다는 미신도 존재한다.[6]

11. 시험 관련 미신
[edit]

시험 당일에 미역국을 먹으면 시험에 떨어진다는 미신이 있다. 그 이유는 미역은 미끄럽기 때문에 시험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찹쌀떡이나 엿을 먹으면 시험에 통과한다는 미신도 있다. 그 이유는 떡과 엿은 끈적하고 미끄럽지 않고 착 달라붙기 때문에 시험에 합격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12. 자라따기
[edit]

영양실조를 치료하기 위한 미신에 근거한 대체의 한 형태로 손에 의도적으로 상처를 입혀서 부정적인 에너지를 몸 밖으로 빼내는 수술(자라따기)이다.

과거에는 어린이들이 영양실조로 많이 고통을 받았고 이 고통이 음식을 못 먹어서 발생한다기 보다는 몸에 부정적인 에너지가 존재해서 걸리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 결과로 이 수술 (자라따기)는 인기를 끌었고 손가락을 따는 것만으로도 영양실조를 치료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과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이 수술(자라따기)은 영양실조를 치료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보기 어렵다.

13. 무당 굿
[edit]

굿을 하는 것은 조상의 제사에서 무당이 미래를 위해 기도하거나 노래하거나 춤을 추면 무당의 축복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14. 풍수지리
[edit]

지형에 기초한 점술론으로 풍수는 집터나 무덤터를 정할 때 사용죄며 대부분 미신으로 간주한다. 풍수는 중국에서 유래한 풍수지리라는 관념에서 유래했다. 풍수지리는 경험으로 증명된 전통적인 지식으로 제시하고, 현장의 기운을 평가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풍수가 무조건 맞다고 주장할 과학적 증거는 없다. 풍수지리는 현대 지식보다 우월하지 않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현대 과학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믿는 문제에 대해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점을 지적한다.

15. 밤에 휘파람/피리를 불면 뱀이 나온다.
[edit]

인도나 이집트 같은 곳에 가면 피리나 휘파람으로 뱀을 움직여 공연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이 영향을 받아 영화나 소설 등 각종 매체에서 휘파람으로 뱀을 부른다는 내용이 많아서 생긴 미신이다. 실제로는 피리에서 나오는 공기를 공격으로 인식해 이리저리 경계태세를 취하는 것뿐으로, 정작 뱀은 청력이 매우 약해서 피리 소리나 휘파람 소리는커녕 다른 대포 소리 같은 매우 크고 시끄러운 소리들도 전혀 듣지 못하며, 또한 야행성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밤에는 대체적으로 취침을 한다. 참고로 뱀은 소리를 듣지 못하고 느끼기만 한다.

16.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소가 된다.
[edit]

밥을 먹고 나면 소화가 시작되며, 이 때문에 피가 위로 몰려 졸음이 오기 쉽다. 이런 상태에서 바로 눕게 되면 쉽게 잠이 들기 마련인데, 이걸 게으른 것으로 인식하면서 생겨난 미신. 하지만 실제 의학적으로도 밥을 먹고 바로 누우면 역류성 식도염이 생길 확률이 높을 뿐더러 혈당 조절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드러났기에 밥 먹고 바로 눕는 걸 권하지 않는다.

관련된 한국 영화

[edit]
  1. 여고괴담
  2. 곡성[7]
  3. 관상[8]
  4. 손님[9]
  5. 검은사제들[10]

논란

[edit]

현대 사회에서 합리성에 대한 강조가 많아지면서 미신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었다.[11]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미신적인 믿음에 대한 행동을 비판하곤한다.[12] 그러나 맹목적으로 미신에 눈을 돌리면 오히려 마음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13]

또한 우리나라의 유명한 전통놀이인 제사(제사)나 쥐불놀이를 단순한 미신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국가 문화의 중요한 측면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4]

참조

[edit]
  1. ^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9436700.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이름=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확인날짜= ignored (help)
  2.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2299&idxno=538711. {{cite news}}: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뉴스=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확인날짜= ignored (help)
  3.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19688.html. {{cite news}}: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뉴스=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이름=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확인날짜= ignored (help)
  4. ^ [articleView.html?idxno articleView.html?idxno]. {{cite news}}: Check |url= value (help);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뉴스=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이름=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확인날짜= ignored (help)
  5. ^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071501277.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언어=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이름=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확인날짜= ignored (help)
  6. ^ http://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5489.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언어=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확인날짜= ignored (help)
  7. ^ http://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994.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8. ^ https://www.etoday.co.kr/news/view/788990.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9. ^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85196.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10. ^ https://www.xportsnews.com/article/662944.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11. ^ http://www.nadodo.unsetotal.com/user/mu_05/unse/07.htm.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12. ^ https://www.sedaily.com/NewsView/1KV85G4EYK.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13. ^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73641.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
  14. ^ https://www.yna.co.kr/view/AKR20160221060600052. {{cite web}}: Missing or empty |title= (help); Unknown parameter |성= ignored (help); Unknown parameter |제목= ignored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