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User:Jang Sieun/상대적 박탈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is page, as edited by Piotrus (talk | contribs) at 09:38, 2 October 2020 (user spaced now no need for deletion). The present address (URL) is a permanent link to this revision, which ma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urrent revision.

상대적 박탈감

상대적 박탈감 은 개인 혹은 집단이 그들이 속해있는 사회에서 익숙한 식생활, 생활방식, 활동 및 오락시설을 지속할 수 있는 자원의 부족을 뜻한다.[1] 상대적 박탈감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이나 집단의 상황을 사회의 다른 부분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2][3][4]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상대적인 경제적, 정치적, 혹은 사회적 박탈의 감정 또는 척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회과학에서 사용하는 단어이다.[3] 이 단어는 빈곤사회적 배제라는 단어들과 떼어놓고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연관 되어 있다.[5] 상대적 박탈감의 개념은 스트레스감정, 정치적 태도, 그리고 집단 행동의 참여와 같은 행동태도 양 쪽에 모두 중요한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관련있다.[2] 이것은 때때로 경쟁자들을 성공적으로 능가한 유기체가 유전자풀에 더 많은 복제본을 남기는, 상대적 적합성이라는 생물학적 개념과 관련이 있다.[citation needed]

사회과학자, 그 중에서도 특히 정치학자와 사회학자들은 사회운동이나 일탈의 잠재적 원인으로 상대적 박탈감(특히 사회적 상대적 박탈감)을 언급했는데, 이는 폭동, 테러, 내전과 같은 정치적 폭력과 범죄와 같은 사회적 일탈로 이어지는 극단적인 상황을 이끌어낼 수 있다.[6][7] 예를 들어, 사회학자 중에는 스스로의 가치를 박탈당했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불만을 인용하며 그들의 증가를 설명하기도 한다.[8] 마찬가지로 개인들은 그들의 수단과 목표가 일치하지 않을 때 일탈적인 행동을 한다.[6]

최근 사회심리학에서는 상대적 박탈감과 반대되는 상대적 만족감[9][10]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이론

상대적 박탈감에 대한 첫 번째 공식적 정의 중 하나로, 월터 런시먼은 상대적 박탈감의 전제 조건은 4가지라고 말했다.[11] (물체 X에 대한 사람 A):

  • 사람 A는 X가 없다.
  • 사람 A는 다른 사람들이 X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 사람 A는 X를 가지고 싶어한다.
  • 사람 A는 X를 얻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

런시먼은 이기적인 상대적 박탈감과 공제적(사상·이해관계가 같은 개인·집단이 서로 돕기 위한 것)인 상대적 박탈감을 구분했다. 전자는 특정 집단(A가 구성원으로 있음) 내에서, 다른 사람들에 비해 사회적 지위가 떨어진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후자는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자신들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 지위가 떨어진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이기적인 상대적 박탈감은 자신이 더 빨리 승진했어야 했다고 생각하는 직장인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직장 내에서 자신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행동을 하는 동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보단 한 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 공제적인 상대적 박탈감은 인종 차별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960년대 미국 시민권 운동과 같은 대규모 사회운동의 발생과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10대들이 비싼 옷을 입고 비싼 차를 타며 아파트에 살면서도, 영화나 TV에서 '중산층'이거나 '평범'으로 묘사되는 부유한 캐릭터에게 느끼는 부러움도 공제적인 상대적 박탈감의 또 다른 예이다. 공제적인 상대적 박탈감은 극우 성향에 대한 투표 경향과도 관련있다.[12].

  1. ^ Peter Townsend,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 A Survey of household resources and standards of living, Penguin Books, 1979, ISBN 0-520-039769,[1]
  2. ^ a b Iain Walker, Heather J. Smith, Relative Deprivation: Specification, Development, and Integr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ISBN 0-521-80132-X, Google Books
  3. ^ a b Kurt Bayertz, Solidarity, Springer, 1999, ISBN 0-7923-5475-3, Google Print p.144
  4. ^ Schaefer defines it as "the conscious experience of a negative discrepancy between legitimate expectations and present actualities.Richard T. Schaefer, Racial and Ethnic Groups, 11th Ed., not in this book Pearson Education, 2008, p.69
  5. ^ "Relative Poverty, Absolute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Retrieved 2014-01-04.[2]
  6. ^ a b Robert K. Merton, "Social Structure and Anomi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 672-82, 1938.
  7. ^ Ted Robert Gurr, Why Men Reb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ISBN 0-691-07528-X
  8. ^ Jerry D. Rose, Outbreaks, the sociology of collective behavior, 1982, New York Free Press, ISBN 0-02-926790-0
  9. ^ Dambrun, M., Taylor, D. M., McDonald, D. A., Crush, J., & Méot, A. (2006). The relative deprivation-gratification continuum and the attitudes of South Africans toward immigrants: a test of the V-curve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6), 1032.
  10. ^ Dambrun, M., & Taylor, D. M. (2013). The Counterintuitive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Racism. SAGE Open, 3(3), 2158244013505756.
  11. ^ * Walter Garrison Runciman, Relative deprivation and social justice : a study of attitudes to social inequality in twentieth-century Eng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12. ^ Urbanska, Karolina; Guimond, Serge (2018-10-26). "Swaying to the Extreme: Group Relative Deprivation Predicts Voting for an Extreme Right Party in the French Presidential Election" (PDF).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Psychology. 31 (1). doi:10.5334/irsp.201. ISSN 2397-8570.{{cite journal}}: CS1 maint: unflagged free DOI (link)